질문등록
orca77 2017-04-26 오전 9:42:30

밥을 먹고 어디 같이 가 볼 데가 있다.

라는 문장에서 어디가 대명사라고 나오는데

'어디 (같이 가 볼) 데'

라고 보면

데가 의존 명사라서 앞에 관형어로 묶었는데 '어디'에서 걸려서요. 어디가 문장 구조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알려주세요

skychun 2017-04-24 오전 12:09:45


수능국어지도1.4 103p 어부단가 82번문제 선지 4번

 

선지 5번이 너무 명백하긴 한데 막상 문제 풀때는 4번 찍고 넘어가게 될 것 같아서요

 

시의 맨 마지막 행에서 '두어라 내 시름 아니라 제세현이 없으랴' 라고 하잖아요

 시의 내용상 화자는 정치적 이상에 대한 미련을 버린 것 아닌가요?

skychun 2017-04-24 오전 12:05:30

수능국어지도 1.3 64p 유비 논증 지문 요약에 관한 질문

 

해설지에 보면 5문단 내용 요약에 동물 실험을 반대하는 쪽의 유비 논증이 일관되지 않게 쓰였다고 말하는 내용이라고 되어있어요.

 저는 이 지문을 읽었을 때 이 내용을

'동물 실험을 반대하는 쪽에서 찬성하는 쪽이 유비 논증을 일관되게 적용하지 않은 것을 비판했다 '고 이해했습니다.

 왜냐면 내용상 찬성쪽에서는 유비 논증을 통해 동물 실험이 인간에게 이익을 준다고 주장한 것과 같이, 유비 논증을 적용해 동물의 고통에 대해 생각 수 있는데도 그에 대해 주목하지 않았잖아요.

제가 이해한 내용이 틀린건가요? 

msh1028 2017-04-18 오후 4:36:15
현대시 1의 [결빙의 아버지]에서 요즈음, 그런데 이것들 모두 시상전환이라고 할 수 있나요?
msh1028 2017-04-18 오후 4:34:20


실전 2회 현대시 [여승]에서 수업할 때 처음에 나오는 흙바람과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흙바람을 대비해서 수업하셧는데

2행에 나오는 흙바람은 부정적 속성을 지니고 20행에 나오는 흙바람은 긍정적 속성을 지닌다고 하셨어요.

저는 이걸 처음 읽었을 때 20행 흙바람을 민망함이나 부끄러움으로 해석했는데 이것을 긍정적인 속성으로 볼 수 있는건가요?

skychun 2017-04-16 오후 10:10:08

카테고리가 없어서;;

 

혹시 수능국어지도 vol2.3 답지 파일로 있으면 이메일로 보내주실 수 있나요?

skychun5@naver.com     

wisejin111 2017-04-15 오전 11:32:13

수특에 동짓달 기나긴 밤을~ 시조가 나오는데요 여기서 춘풍니불이 봄바람처럼 따뜻한 이불이라는 의미라고 하는데 시조에서 '~처럼'이라는 말은 안쓰였지만 의미상으로 '봄바람처럼'이라고 해석되니까 직유법이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나요?
wisejin111 2017-04-14 오전 2:58:17

수특에서 이육사 '절정'이 나오는데요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에서 겨울=부정적현실/무지개=희망을 의미하는 것이 상징이라는 건 확실한 것 같은데 은유라고 할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