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oboxer2130 2017-05-15 오전 11:14:00
Battle1의 기술지문과 같은 경우 용어가 너무 많아서 도저히 핵심 내용을 찾기가 어려운데 복잡한 지문의 경우 각문단별로 핵심내용을 어떻게 찾아야 되나요?
oboxer2130 2017-05-15 오전 11:11:04
A교재에서 비문학을 요약하고 나면 그 다음에 요약을 잘했는지 확인할 방법은 없나요? 그냥 계속 요약만 하는건가요?
dreamyjin 2017-05-15 오전 2:11:25

선생님 제가 그 본문에 적혀있는 말을 자기 말로 쓰는? 요약을 할 때 이 구절을/단어를 다른 구절로/단어로 바꿔도 괜찮은 건지 안 괜찮은 건지 구분을 잘 못해서요!  

*교재 A2에 공자 나오는 첫번째 지문(p52) 두번째 문단에서 '공자는 모두 정명을 실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라고 해도 맞을까요?

*그리고 p60 간접광고 지문 네번째 문단에서 '보도, 시사, 토론 등의 프로그램에서 간접 광고가 금지되었다'는 건 '보도, 시사, 토론 등의 프로그램에서 간접 광고는 위법이다'라고 해도 괜찮...괜찮...겠죠....?


헝 그리고 혹시 교재 B나 C에서 화작을 틀리면 어떻게 되나요.. 겨울에 쌤이 수능에서 화작은 안 틀리니까 걱정 안해도 된다고 말씀하셨지만... 교재에서 틀리니까 조금 걱정되네요 흑흑 따로 공부를 안 해도 될까요 제가 절 믿어도 될까요.........


((우왕 스승의 날이네요! (/'▼')/♡ 선생님 감사합니다!)

eyescat123 2017-05-15 오전 1:09:27


쌤 B1에 8쪽 19번에서요

고전소설인데 보기2번에  '필연성'이라는 말이 나오길래

'고전소설에서 필연성이나 인과관계가 나오면 무조건 아니다' 라는 선생님말씀이 떠올라 바로 아니라고 체크했는데 맞는 답지였어요.. 

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는건가요? 그런거라면 바로잡아주세요..

eyescat123 2017-05-15 오전 1:05:56


선생님 문학작품 읽을 때 <보기>가 주어지면 읽지 말라고 하셔서 그러고 있는데

혹시 문학작품 2개정도 주어지고 (가)에서 길게 밑의 문학작품들의 배경지식 같은 게 주어지는 문제 유형에서도

(가)부분은 안읽고 풀어도 되나요?

그 부분은 대부분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고 시간도 줄일 겸 해서 전 최대한 안읽고 밑줄쳐져있는 부분과 그 근처만 읽고 풀고 있는데

아리까리한 답지가 나오면 (가)를 다시 읽어보면 거기에 결정적표현이 나와있는 경우가 꽤있더라구요.

이런 문제 유형에서 (가)부분을 어떻게 다뤄야 할까요?

eyescat123 2017-05-15 오전 12:58:26

선생님 A1 34쪽에서요 (가)의 ㄱ에서 통일성이란게 내용측면에서 통일된다는 것 아닌가요? 아으 동동다리는 이별의 내용과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해서 1번을 골랐는데 다시 밑까지 읽어보니까 3번이 맞네요.

아으 동동다리와 위증즐가 대평성대는 그러면 ㄱ,ㄴ,ㄷ의 특징을 모두 갖는 건가요?

 

yujin99 2017-05-14 오후 11:16:21

이번에 battle1에서 기술지문을 풀때 다읽고나니깐 뭘읽은거엿는지전혀 감이 안잡혀서 계속 왓다갔다하면서 풀엇는데 처음에 읽을 때 어떤 식으로읽어야하나요...?? 

erickang0311 2017-05-14 오후 7:56:23
독자가  상황에 대해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한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