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have 0 messages
계정이 없으신가요? 회원가입
고객지원 kor_way@naver.com 010-3205-7889
수험번호(휴대폰번호) 인증시 출석,성적조회등 이용이 가능합니다.
쌤!
고전소설에서 '밝고 역동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나 '서사를 빠르게 전개하고있다' 같은 선지도 효과라고 할 수 있어요?
내용이랑 효과를 잘 구분을 못하겠어요 ㅠㅠ .. !
대화형식이라는게 청자의 답이 포함되어 있어야 대화형식인가요? 그냥 단순히 청자에 대한 언급이나
'너' 나 누굴 부르는 행위등은 대화형식에 포함되지 않는 거죠?
그리고 관습적 표현이라는게 한자나 어려운 말이 포함되어 있는거라고 볼 수 있나요
감사합니다
쌤! 정말 죄송한데요... 제가 아직 4월 모평 답을 못 올렸는데
다시 열어주시면 안 될까요ㅜㅜ
Vol1 p116에서요 25번과 29번 문장을 통해서 101번 3번 선지같이 '나'가 자신의 현실 대응 방식을 반성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나요?
Vol3 p23에서 존재탐구와 자아성찰은 다른거라 하셨잖아요 존재탐구가 정확히 뭐에요?
p29지문을 프린트 보니까 '항성년이 정확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이라고 나와있는데 그건 어떻게 알아요? 그냥 14번 문장같은 문장들로 유추해 낼 수
있는건가요
감사합니다~
vol.1권 49페이지에서 19번 문제 1번 선지에 (A)는 권력자에 기대어 말한다고 한점이 답지에선 틀리다고 표시가 안되어 있는데 토끼가 (A)부분에서 말할 때 권력자에 기대었다고 했다고 알 수 있는 근거가 무엇인가요? 또 같은 문제 5번 선지에 다른 인물까지 청자로 상정하고 있다고 한 부분에서 '다른 인물'이 가리키는 게 만조백관인가요? 또 '청자로 상정한다'는 것과 '청자로 설정하였다'라는 진술은 차이를 갖고 있나요?
누나는 할머니를 모시고 집에 왔다.
이어진 문장인 지 안은 문장인 지 모르겠습니다
이어진 문장이라면 종속적으로 이어진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