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ytreesun 2017-08-09 오전 10:04:01
배틀6 3번에서요 3번선지에서 ㄱ 정합설은 현실세계와 무관하다는 말을 틀린것 아닌가요? 그 위에서 책상이 아니라 걸상이라고 판단하는것도 정합설의 일부인데 경험적 지식을 사용하고 있고 아래에 현실세계와 무관한 것은 형식과학을 말하는거 아닌가요?
sts06019 2017-08-09 오전 2:56:39


선생님 죄송하지만 check 7 답안등록을 못했습니다. ㅜㅜㅜㅜ

 

답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ㅜㅜ 

midnightsun 2017-08-09 오전 12:11:34

제가 지금까지 Check5와 Check7을 제출했는데, 성적조회에서 둘 다 확인이 되지 않아요.. 

(그리고 Check6은 지금이라도 제출 가능한가요?;;) 

foxflower7 2017-08-08 오후 10:49:30

Battle 6 13번에서 섬이 왜 육지와는 대비되는 공간으로 과거와는 단절된 이상적 공간인가요?

석양은 이상이 실현된 시간적 배경인 건 알겠는데 저물손과 새벽과 왜 의미상 호응하는 건가요?

'저물손'이 무슨 뜻인지는 모르지만 두에 아침에 저물손에 새라 새로운 탄식을 얻으면서라는 구절이 나오므로 이상이 실현된 공간인 석양과는 오히려 대조되는 의미 아닌가요?

foxflower7 2017-08-08 오후 10:43:56
Battle 6 5번 문제에서요, 본문에 '단기적인 주가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그때그때 비율을 조정하는 기법을 전술적 배부니라 하는데, 평균 회귀와 오버 슈팅은 이 전술적 배분에 중요하다'가 나와있으니까 보기4번 유버슈팅은 전술적 배분에 영향을 미친다가 답이 될 수 있지 않나요?
orca77 2017-08-08 오후 1:18:21

 A6 <논리실증주의자와 포퍼는~> 인문 지문에 관한 질문입니다.

콰인이 분석명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근거로 환원 가능성, 동의적 표현 등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해가 안되서요. 이에 대한 설명과 논리실증주의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배경지식 차원에서  알아두면 좋을 것들에 대해서 알려주셨으면해요. 감사합니다.

wpdntm35 2017-08-08 오후 12:34:40
check 7회 19번 문제에서 ㅁ번은 형용사에 '말다'가 쓰인 경우가 아니지 않나요?
yujin99 2017-08-08 오전 9:51:57

BATTLE6 24번의 5번 선지에서 임금이 전우치를 신뢰하지 않고잇는지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