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have 0 messages
계정이 없으신가요? 회원가입
고객지원 kor_way@naver.com 010-3205-7889
수험번호(휴대폰번호) 인증시 출석,성적조회등 이용이 가능합니다.
기출로 내용일치문제를 풀 때 지문으로 돌아가지않고 풀 수 없다면 중요한내용을 놓쳣다고 보고 다시 천천히 읽어보는게 좋을까요??
1. Battle 1 4번에서 3번보기가 왜 모음-자음인가요?
2.check 1 18번에 왜 4번은 답이 안되나요?
1. 성산별곡 27번 문장에서 '꾀꼬리는 어드러셔 오돗던고'에서 '어드러셔'가 '어디라서'라고 해석되어 있는데 그게 무슨 의미인가요?
1. 관동별곡 24번 문장에서 춘풍옥적성은 은유법이에요?
2. 관동별곡 34번 문장에서 혈망봉은 감정이입의 대상이에요?
3. 관동별곡 73번 문장에서 문답법과 도치법이 각각 어디에, 어떻게 쓰인건가요?
A교재 58쪽에서요 이렇게 되면 동의적 표현이 동어 반복 명제로 환원 가능하게 하는 것이 되어 필연성 개념이 다시 분석명제 개념에 의존한다는게 이해가안가는데요 필연성개념이 분석명제 개념에의존한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학습관련해서 질문을 하고 싶은데요
1. 각 문단마다 첫문장을 읽고 시작하는 거를 실전에서도 적용하는건가요?
2.Ebs연계가 문학에서는 연계율이 높은편인데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선생님 생각이 궁금합니다
3.국어공부를 a교재와 c교재만해도 충분할지 궁금합니다 6모때 2등급이 떠서 ㅜ.ㅜ 더 해야하는게 아닌지 불안해요 만약 더 해야한다면 어떤거를 공부해야할까요
Check 6관련 질문입니다
Check 6의 16번에서 2번선지에 ㄷ의 밑줄친 부분은 부사어의 구실을 한다고 나와있고 이게 맞는 선지라고 되어 있는데요 '우리가 야구연습을 하기' 까지만 밑줄이 쳐져있는데 문장성분은 어절단위니까 '우리가 야구 연습을 하기에' 까지가 부사어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