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will9102011 2017-08-15 오전 2:23:41


                            A8 홍길동전에서 인형이 길동에게 '아우야' 라고 하는거보니 인형이 길동의 형인가요>??  근데왜 인형에게 '모친은 염려마십시오' 라고 하는거에요?


bella9910 2017-08-15 오전 12:22:35

쌤 battle 7  20번 문법 문제에서 2번이 답인 이유가  '잘 짜인 연극은 관객을 감동시킨다.--> 잘 짜여진 연극은 관객을 감동시킨다.' 이렇게 고치는 것 자체가 틀린것인가요 아니면 고칠 때 고려한 기준이 '적절한 피동 표현의 사용'이 아니라 '이중피동의 사용'이기 때문인가요?

만약 후자가 맞다면 이중피동의 반댓말은 적절한 피동인것인가요? 저는 '적절한 피동 표현의 사용'을 말그대로 문장에 필요한 피동표현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라고 파악해왔거든요.. 아 그렇다면 이중피동은 언제나 부적절한 피동 표현인건가요? '재우다'처럼 이중사동 중에는 옳은 어법도 있는데 이중피동은 모두 틀린 건가요?

skychun 2017-08-14 오후 11:34:02


Battle6 30번

1번 선지에서 B에는 설의적 표현이 어디있나요?

 

skychun 2017-08-14 오후 11:32:30

Battle6 25번

 <보기>의 밑에서 둘째 줄에 ,우치는 태어난 지 한 달 만에 걷고, 오십 일 만에는 언어를 통달하였다'

이 부분은 3번선지에서 '득도 과정'에 포함되지 않는 건가요? 

skychun 2017-08-14 오후 11:30:50


Battle6 13번

4번선지 답으로 고를 때,

 '이상이 실현된 시간이라는 것은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났을 때 쓸 수 있는 표현인데,

(다)시의 1~4행은 실현된 일이 아니라 꿈을 꾼 것이므로 4번 선지가 답이다'

라고 생각하고 골랐는데요.

맞게 판단한건가요? 

skychun 2017-08-14 오후 11:23:49

Battle5 28번

 

1번 선지 '동일한 시어의 반복을 통해 리듬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 시에서 '~듯'이 반복되고 있는데요,  이건 시어의 반복으로 볼 수 없는건가요?

 '시어의 반복'의 기준이 뭔가요? 

bnbijou 2017-08-14 오후 8:59:25

A 2번째교재 A9의 첫 지문에서요

다섯번째 단락이 이해가 잘 안되어서 질문드려요..

'... , 판단이나 추론과 달리 나의 감각에 대해서는 나 자신이 특권을 가지므로 내가 나의 감각에 대해서 오류를 범할 수 없어야 한다.'

이 부분은 개념주의, 비개념주의, 혹은 둘 다, 중에서 어떤 입장에 해당되는 건가요?

그리고 마지막문장인 '변화를 알아볼 수 있을 때에야 감각하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개념주의의 입장인 것 맞죠?

ytreesun 2017-08-14 오후 8:44:55
답지를 선택하고 넘어가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하셔서 매번 노력하고 있는데요, 저는 답지를 선택하고 바로 넘어가는 것 이전에 답지를 너무 빨리 읽고 넘어가버리려고 하는 습관이 든것 같습니다. 틀리고나서 오답하기 위해 다시 확인해보면 조금만 더 지문과 연관시켜서 잘 생각했으면 맞았을텐데 하는 생각이 듭니다. 시험을 볼때 답인 것 같으면 지문으로 가서 확인해보고 맞으면 넘어가려는 노력을 해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