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will9102011 2017-08-22 오후 7:11:15


                            A9에서 3번문제에 대한 질문인데요. 2번선지가 왜 틀렸는지 모르겠어요...물감방울과 얼룩은 감각경험(비개념적절차)이고 다리위의사람은 판단과 추론(개념적절차)이니까 다리위의 사람과 달리 물감방울과 얼룩은 비개념적으로 인지해야한다. 라는 말이 맞지않나요?>??

 

그리고 check 채점결과는 어디서 볼수 있나요? 

billy9997 2017-08-22 오전 1:32:57
그동안 선생님께서 일단 문단을 끝까지 읽고 다시읽지않고 중요한 내용을 머리로 생각해보라고 하셔서 하고 잇는데요. 하다보니까 문제가 있는데 일단 문단이끝나고 생각해보고 안되면 그 문단을 다시 읽고 이런 방식으로 하니까 한 지문에 30~40분씩 쓰는데 시간낭비인가요? 그리고 한 문단을 기껏 요약해놓으면 다음문단을 열심히읽고 요약하는동안 앞내용이 기억이 잘 안나는데 그럼 더 짧게 요약해야된다는얘긴가요?
dlwotjr11101 2017-08-22 오전 12:06:45
Battle 8에서 16번에 5번에 예술적 효과는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 저는 예술적 효과는 나타나있지 않다고 생각해서 나머지중 가장 비슷한 3번을 골랐습니다. 여기서 3번은 그저 예시로만 쓰인건요가? 또한 17번에 1번에 모두 회화적으로 형상화하는 방식이라고 나와았는데 그저 그림을 나타낸것이라고 회화적이라고 할 수 있나요? 사실 이 지문에서 상사의 관계가 나올 때 회화라는 단어도 쓴 적이 없었거든요. 4번은 실물과 수평적 관계가 아닌 것인가요? 본문에서 원본에 구애됨이 없이 맘껏 상사의 수평적 놀이를 향유한다 가 그 반례라고 할수 있나요?
nongnong 2017-08-21 오후 10:05:50

수특 문법문제중에

여보,언제나 당신의 말에 귀를 기울일게요

라는 문장을 주고 당신이 인칭대명사라고 나왔는데요

여기서 당신은 여보를 다시 나타내니까 재귀대명사 아닌거요?

enffl3355 2017-08-21 오후 8:26:40

Battle7 16번문제에 감정이입이 나오는데.(나) 시조에서 실솔은 그리워하는 감정이 이입되었다고 볼 수없나요? 

또 23번에 4번선지에서 자연물과의 관계가 나타난다고 했는데 (가)시에서는 구름과 언덕이 이에 해당하나요? 자연물과의 관계는 자연물이 등장하기만 하면되나요? 


fernandho 2017-08-21 오후 7:30:32

A9 3번 문제에서요요비개념주의는 선감각 후판단으로 두 단계를 구분했잖아요

2번 선지는

다리위의 사람을 판단까지 이어진 상태, 확대해서 생긴 새로운 감각, 즉 물감방울과 얼룩은 판단까지 이어지지 못한 상태라고 생각할수도 있지 않나요?

dwred12 2017-08-21 오전 1:56:36

저번에 올렸던 질문과 답변입니다.

질문)A9 2번에 1번 선지가 왜 틀린 말인 건지 모르겠어요... '변화맹의 불합리성'이 '감각경험에 대한 자신만의 특권을 주장하기 때문에 생긴다.' 라는 선지와 5번째 문단의 '변화맹은 불합리하다. 나의 감각에 대해서는 나 자신이 특권을 가지므로 내가 나의 감각에 오류를 범할 수 없어야 한다' 완전히 같은 말 아닌가요???

그리고 샘께서 수업하실 때 지문에선 변화맹의 불합리성이 ~ 때문에 생기는 거고 1번 선지는 변화맹이 ~때문에 생기는 거여서 틀린 거라고 하셨는데 1번선지의 주어는 변화맹의 불합리성인데 왜 변화맹이~라고 해석하신건가요?? 

답변)선택지의 '변화맹의 불합리성'은 '변화맹이 불합리하다'의 의미이므로 '변화맹이'라고 설명한 것이고, 선택지와 지문의 의미는 완전히 다릅니다. 지문의 의미는 감각은 나만의 특권인데, 내 감각에 대해서 모른다고 말하는 변화맹은 말도 안 된다는 의미이고, 선택지는 '변화맹이라는 불합리성이 생기는 이유는 내 감각에 대해 특권을 주장하기 때문이다'입니다. 두 표현이 같아 보이나요?

아직도 이해가 안가요ㅠㅠ...그리고 '변화맹이라는 불합리성'이 아니라 변화맹의 불합리성 아닌가요??



sarahpyeon 2017-08-20 오후 11:27:40

A9에 금수회의록, 호질이 있는 복합지문 문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가)에서 금수회의록에서 짐승들이 사람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도록 의인화되어 있지 않다고 했는데 이 부분이 이해가 잘 안가요ㅠㅠ

그리고 11번의 5번에 인격화된 호랑이를 주인공으로 설정한다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인격화와 의인화는 어떻게 다른 건가요?

나와 다에서 인격화와 의인화가 각각 된건지 아닌지를 예시로 설명해주시면 좋겠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