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cindyw 2017-09-19 오후 12:27:27

문학 파트에서 문학 지문이 나오기 전에 비문학 지문이 나오는 경우에서요,

문제에서 (가)를 바탕으로, 또는 (가)를 읽고, 이런 식으로 문제가 나오는데

비문학을 꼼꼼히 읽고 문제에 접근해야만 풀 수 있는 건가요?

 

문학 문제 풀 때 <보기>는 참고용으로만 쓰라고 하셨는데 혹시 비문학 파트는 어떤 식으로 해야 하나 궁금증이 생겨서요.. 

cindyw 2017-09-19 오후 12:19:49


1. 이번에 새로 받은 A책 21쪽 문제에서요 5번 선지는 왜 답이 될 수 없나요? 직관주의 윤리학과 반직관주의 윤리학의 절충선에서 도덕적 사유의 두 수준 모델이 만들어진 것 아닌가요? 필자가 이론을 정립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헤어의 이론을 설명하는 것이어서 그런건가요? 

 

didierdrogba11 2017-09-18 오후 6:20:06
이번주 숙제가 나눠주신 파이널 프린트 #2 전부와 프린트에 해당하는 A교재 전부인가요?
nongnong 2017-09-18 오전 8:08:40

21페이지 1번문제요

4번 선택지와 5번 선택지가 왜 안되는지 모르겠습니다ㅜ

4번은 직관주의와 반직관의 문제점을 분석한후에 새로 모델을 제시해서 반직관의 문제를 해결하려했으니까 맞고

5번은 직관과 반직관이 대립한다고 보고 모델이 그 둘을 절충한 새로운 이론이라고 보면 맞다고 생각했는데 답이 2번이라서 잉???했습니다ㅜㅜ

eyescat123 2017-09-18 오전 12:36:19
쌤 고3 숙제가 뭔지 다시한번 알려주세요..
eyescat123 2017-09-16 오후 10:19:49

B9 29번에서요 

 

아ㅺㆍ온 져 소뷔ㄴㆍㄴ 볏보님도 됴ㅎㆍㄹ세고

가시 엉긘 묵은 밧도 용이(容易)케 갈련마ㄴㆍㄴ

허당반벽(虛堂半壁)에 슬듸업시 걸려고야

춘경(春耕)도 거의거다 후리쳐 더뎌 두쟈

 

여기서  ㄴ부분이 사대부로서의 직분을 실천하지 못해서 안타까움?이런 보기였는데 왜 맞는지 모르겠어요!

저   부분은 소뷔라는 밭 가는 농기구가 있는데  쓸데가 없어서 허당반벽에 걸어두었다..니까 화자가 실천하지 못한것은 사대부의 직분이 아니라 농사?현실적으로 살아가려는 해결책? 등등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eyescat123 2017-09-16 오후 10:11:38

1. B9 에서 27번에서요 1번이랑 5번이 맞다는게 이해가 안돼요. 여자가 남자한테 호감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지않나요? 1번보기처럼 가만히 있었던 것은 남자의 존재가 들킬까봐, 게다가 "저를 놓아주시면 제가 틀림없이 이 문을 열어 맞이할 거예요."라고 했으니 5번에서 자물쇠를 철컥잠그는것이 거절의 의사인 것이 더욱 아니지 않나요..? 어느 부분에서 1번과 5번이 맞는지 알 수 있나요??

wpsltkfkdgo1 2017-09-16 오후 12:15:45
A교재 9쪽 문제에서 3번이 안되는 이유는 내적갈등 때문이져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