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wltmd267 2017-03-04 오후 10:56:39

문법 피동표현/사동표현을 공부하면서 '-되다'와 '-시키다'가 어디에 포함되는건지 헷갈려서 인터넷에 검색해봤습니다. 그런데 '-되다'는 통사적 피동에 속하고 '-시키다'는 파생적 사동에 속한다고 하는데 어느 부분에서 차이가 생기는건지 잘 이해가 안 돼요ㅜㅜ

clarao33 2017-03-04 오후 9:38:55

쌤!

Vol3에서

1. p51  41번에 4번선지에 A 현학적 도 틀렸고 B 도 이 소설에서 '나'가 서씨의 모습에 매력을느낀 것이지 그의삶을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이 나와있지않아서 틀린거죠?

2. 같은문제 5번선지 '상황을 입체적으로 드러낸다' 가 무슨뜻인가요

3.  p54  46번 4번선지가 잘 이해가 안가요ㅠ

 

그리고 제가 59쪽 53번에 3번 '각각 서로 다른 학습데이터'를 ㅣ읽고 지문안보고 나름 판단하고 틀렸다고 체크했는데요

지문갔더니 너무 명백하게 답이 아닌 근거가 나와있어서요...

과학지문읽을때 세부내용이 너무많아서 중심문장 하나씩만 치면서 읽는데 가끔 세부내용을 못잡아서 틀리는경우가 있어요

지문 읽을때 이해도가 부족해서인가요? 더 집중하고 읽으면 굳이 지문을 안가고 답지만 정확히 읽어도 해결되나요 아니면 어느정도 표시를해놓고

지문으로 되돌아가야되나요..

시험볼때 과학지문나오면 선지중에 2~3개정도는 확신이 안가서 되돌아가고 정신없이푸는데 깔끔하게 푸는방법을 알고싶어요ㅠ 

 

judy6109 2017-03-04 오후 6:41:01

3월 모의고사 27번에  1번답지에서 B만 보고 판단했을때 이시에 생동감을 부여한다는것은 시적분위기와 안 맞지 않아요??


judy6109 2017-03-04 오후 6:38:09
3월 모의고사에서 문제 22번에 3번 답지가 왜 맞는지 잘모르겠어요ㅠㅠ조웅전과 달리 라했는데 조웅전도 마찬가지로 가문의 차원까지 확대되지 않나용???
windy94 2017-03-04 오후 5:47:21

계속 질문을 해야지, 해야지 하다가 까먹고 지금 질문 올려요ㅠ

 

선제리 아낙네에서

 '먹밤중 한밤중 새터 중뜸 개들이 시끌짝하게 짖어댄다

이 개 짖으니 저 개도 짖어

들 건너 갈메 개까지 덩달아 짖어댄다' 는 부분이랑

 

'밤 기러기 드높게 날며

추운 땅으로 떨어뜨리는 소리하고 남이 아니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의좋은 그 소리하고 남이 아니다' 라는 부분이 잘 이해가 안되더라구요.

음 6-8은 선생님이 일상적 언어로 풀이해주신 거 보면 이해가 되는데, 제가 직접 그렇게 풀이를 하려고 하면 잘 모르겠어요..'ㅅ'

raven0502 2017-03-04 오후 2:23:16
3.1 21쪽 8번문항에 5번선지에서 화자의 겸손한 태도가 드러난다는 말이 맞는 말인가요?
lsj4727 2017-03-04 오후 12:44:06
Vol.3.1 p.22 에서 (다) 시의 16번 문장에 난만한 봄길이라는 표현의 뜻을 잘 모르겠습니다. 
erickang0311 2017-03-04 오후 12:43:03
21쪽 나 시7연 말을 떨어뜨린다와 23연 어둠이 눈을멀뚱거린다의 뜻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설명 가능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