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clarao33 2017-04-08 오전 12:32:03


쌤 Vol1 21쪽 '한'에서 9번문장에 '느껴운 열매'가 무슨뜻이에요?

그리고 23쪽에 4번선지가 이 소설이 1인칭 주인공시점이니까 '관찰자입장'도 틀리고 '객관적 묘사'도 틀린거에요?

1인칭 주인공시점에서 주인공이 '관찰자의 입장에서~'라는 말이 나오면 틀린 건가요?

감사합니다! 

beryblu 2017-04-07 오전 7:58:32

선생님~

A를 통해 B하고 있다는 유형에서 

둘 사이의 관계를 따질 필요가 없는 것은 왜 그런가요?

문제를 풀면서 보면 맞는 얘기라는 게 보이는데 그 이유가 궁금해요~!

clarao33 2017-04-05 오전 12:31:16

선생님! Vol3에서요

1. 85쪽에 16번째 줄 하단에 '입맛을 잃은 탓만도 아닌 무엇이'에서 '무엇이'에는 독도 잘 안지어지고 조수랑 아내도 도망가고 가난하고 등등의

복합적인 것들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나요?

2. 86쪽에 보기에 '오랜 시간의 숙련 과정에서 다양한 갈등을 극복하며 경지에 오른 장인'은 이 책의 소설부분엔 안나와있는거 맞죠

3. 95쪽 26번 문장에서 온몸에 풋내를 띤다는 것이 고향의 모습들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인가요?

   그리고 28번에 '봄신령이 지폈나보다'는 그냥 봄이 왔다고 해석하면 되나요? 

그리고 겨울방학 때 사둔 마닳책이 있는데 선생님 방식이 기출을 반복해서 본다는 점에서 마닳이랑 좀 비슷한거 같아서요

굳이 마닳안하고 쌤교재만 돌려도 되겠죠?

주변에 마닳 좋다고 계속 하는 친구들이 있어서 할까말까 약간 고민되서요..ㅎㅎ

감사합니당 

 

sh0218 2017-04-04 오전 1:39:27


     선생님 기출문제를 분석하라는 것이 선생님께서 말하시는 그 1,2,3번 유형문제로 분류해서 보라는 건가요? 혹시 지문을 따로 뭐 분석같은 것을 해야 되는 것인가요?

그리고 문장내에서 중요의미를 찾는다는 것이 꼭 문법적인 것 예를 들어서 문장을 볼 때 문장 주요성분이 아닌 것보다 주요성분인 주어, 목적어 같은 것에 더 집중해야 하는 이런 것은 아니고 그냥 연습 계속해서 스스로 그냥 의미있는 단어를 고르는 것이 맞는 것이겠죠?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orca77 2017-04-03 오전 6:57:09

학교 내신이 수특에서 나오는데 수특을 어떻게 공부해야 할 지 모르겠어요(문학)

지문은 내신처럼 꼼꼼히 공부하면 될 것 같은데 같이 딸려있는 문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변형 문제도 어디서 구해야 할 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yujungk11 2017-04-02 오후 5:33:23


1. 휴강기간중 보는 모의고사를 시간이 안맞아서 못보는데 시험지만 따로 받을 수 있는건가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시간재고 푸는 실전연습이 부족하다고 생각됩니다. 시험볼때도 시간이 많이 부족한편이에요.)

2. 시간이 부족한건 '답나오면 넘어가'로 해결이 가능한가요? 답이 안나오면 어떡하죠><? 글읽는 속도가 많이많이느려요....특히고전에서!!

3. 내신기간에는 13주차때 알려주신 방식으로 교재 1,2,3권을 다시 공부하면 되는건가요?  다른 기출문제집도 풀어야하나요?ㅠㅠ ex) 마르고 닳도록, 매3비

4. 학교쌤이 문학이나 비문학 풀때 문제를 먼저 읽고(문학은 보기읽고) 풀라고 하시는데 지문부터 읽는게 맞는 거죠?

5.  보기있는 문학 3번 풀때 지문내용을 아예모르겠으면 보기를 봐도 되나요?

6. 화작은 따로 공부할 필요가 없나요? 화작 틀리면 어떡해여,, 읽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거나!

7. 모의고사보는날 국어1교시전에 국어문제(비문학?) 풀어보는게 좋아요?정신말똥말똥하게?

8. 국어를 매일매일!!하루도 빠짐없이!! 공부해야하는거에요? 아침에 하는게 오후에하는 것보다 좋아용??애들 다아침에 푼다고 하길래,,

벌써부터 쌤이 그리워져요ㅠㅠㅠㅠㅠㅠ

쌤~~~ kor=관(?!) way=길 ???궁금해용ㅎㅎㅎ


jdrbin 2017-04-01 오후 11:20:10

                           선생님 기출문제집으로 마르고 닳도록이 적당한가요?
oboxer2130 2017-03-31 오후 11:23:53
문법에서 넓다와 밟다, 맑다의 기본형과 활용에서의 발음의 차이가 뭔가요? 그리고 이런 부분이 수능에 출제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