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enffl3355 2017-09-03 오후 9:11:05

                            A11에 56번 문제에서 [A]에는 요약적 제시가, [B]에는 장면적 제시가 나타나 있다고 하는데 서술자가 일방적으로 서술하면 대체로 요약적 제시로 판단하면 되는 건가요? 또 장면적 제시의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A],[B]의 어느 부분을 근거로 해서 이런 것들을 판단하면 되나요..?
sarahpyeon 2017-09-03 오후 7:04:31

A11 질문입니다.

1.71번에 1번은 지문과 어떻게 다른 건가요? 왜 답이 될 수 없는 거죠..?

e_robin 2017-09-03 오전 12:50:05
고전소설이나 현대소설에서 '서술자의 개입'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jjw9830 2017-09-02 오후 10:47:09
역설적 표현이 모순된 것이라고 하셨는데 시각의 청각화도 모순된 것 이니까 역설적 표현으로 볼 수 있지 않나요?
jjw9830 2017-09-02 오후 10:44:49
의인법이 비유적 표현 인가요? 왜죠?
cindyw 2017-09-02 오후 8:56:55


Check 10의 41번에서요!

'부모가 되어서 난리 중에 자식을 잃고 찾을 생각도 아니하고, 뉘 힘을 빌려서 찾으려고 해? 맹랑한 놈!'

이 부분을 볼 때 허 판서가 김 진사의 인륜에 어긋난 행동을 꾸짖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지 않나요? 

usagimj 2017-09-01 오후 9:47:36
서사 전개에 완급을 조절한다는 것은 어떨 때 쓰는 말인가요..??
usagimj 2017-09-01 오후 9:29:42

A교재 11의 65번 문제에서요..

선지 1번에 '이상향에 대한 확인의 정당성'이라는 말에 나오는데 확인의 정당성이 무슨 뜻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