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sinwon991010 2017-10-16 오후 10:37:55

C12 질문입니다.

1. 1번의 4번이 어디가 잘못된건가요

2. 4번에서 2번이 안되는 이유가 이 소설은 계속 과거 회상으로 전개되기 때문인가요


Adelheid08 2017-10-16 오후 4:52:13
Check 15 74쪽 9번에서 선지에 밑줄이 그어져 있지 않은데, 문장 속 파생어를 직접 찾아서 풀어야 하나요?
suprememin 2017-10-16 오후 3:59:47

파이널5?에 29번에 5번이요

(가)파초 시에서 현실상황의 변화를 기대하는 태도가 어려운 현실 상황을 극복하고자하는것과 왜 같은건가요?

겨울을 같이 버텨내자는게 왜 현실상황의 변화를 기대하는거죵 ㅠㅠ?

먼가 미묘하게 다른거같아서 헷깔려요ㅠㅠ 알거같긴 한데 괜히 헷깔리는게 찝찝해서요 ㅠㅠ

hjy648012 2017-10-16 오후 2:06:22
선생님, 문법 문제에 긴 지문이 딸려있는 것들은 지문을 먼저 읽어야 하나요 아니면 문제를 풀면서 지문으로 돌아가야 하나요? 지문을 먼저 읽는다면 어느 정도 꼼꼼히 읽어야 하는지.. 비문학 읽듯이 읽으면 되나요?
nongnong 2017-10-16 오전 10:13:27

1.작년 6모 시험지 음악 지문에서 A부분에 

가령,음정이 2/1인 옥타브, 3/2인 완전5도, 5/4인 장3도,6/5인 단3도 순서로 협화도가 작아진다. 문장에서

2/1이 협화도가 크고 5분의 6이 협화도가 작은 거잖아요. 근데 제가 사탐 문제풀다가 비슷한 문장구조를 봤는데

다수대표제, 소수대표제, 비례대표제 순으로 득표율과 의석률의 격차가 크다.에서는 다수대표제가 제일 격차가 큰걸로 해석했거든요..

작아진다 와 크다의 차이인가요? 진다는 어떻게 변해나가는거니까 뒤에 나열될수록 그렇게 변한다는거고

커진다가 아니라 크다는 앞에 나열된게 더 크다고 이해하면 되나요

ksilvia00 2017-10-16 오전 9:50:14

가이드 1 숙제중인데요

이시영의 마음의 고향 6ㅡ초설에서 ~~가 아니하고 라고 되어 있는데 가이드의 의미에서는 오히려 선명히 남아있고 라고 해석되더라구요.. 사실 저도 이런 의미를 문제 풀면서 알아채긴 했는데요 만약에 시를 읽기만 했으면 저는 이런 반어적인 의미를 알아채지 못했을 거 같아요ㅜ 시만 봤으면 ~하지 아니하고 가 계속 반복되니까 오히려 이런 데 없다 의 의미를 강조하는 거 같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거 같아요..


시에 쓰인 반어적 의미를 알아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bluey0410 2017-10-16 오전 9:09:55
쌤! ‘시적의미를 대비적으로 부각한다’라고 할 때 대비적이라는 말은, 꼭 시적 대상과 반대되는 성격이 아니라 유사한 성격을 띄어도 쓸 수 있는 말이에요...? 그러면 대조적은 반대의 의미를 갖을 때에만 쓸 수 있어요?’
qkrehdl99 2017-10-15 오후 9:11:17
A교재 159쪽 '강우'에서 '이 사람'이 아내인 걸 어떻게 아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