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serena1206 2017-11-08 오전 9:45:36
선생님! 외전 4의 6번에서 5번 선지가 정답이 될 수 없는 이유는 기하학적 형태를 띤 ‘대상’이라고 해서인가요? 지문 마지막 문단에서 보링거는 진정한 예술이 시작을 순수 기하학적 형태를 지닌 신석기 시대의 추상 미술로 본다고 해서 5번이 답이라고 생각했었거든요ㅠㅠ
Chae0527 2017-11-08 오전 8:22:40
선생님! 배틀17에 16번 문맥적의미가 유사한것끼리 묶은 것이요 5번은 왜 답이 안되나요??ㅠㅠ
directhgsy 2017-11-07 오후 9:11:25

문법과 비문학 관련해서 몇 가지 질문 드립니다.

1. 잠투정, 나들이, 옷고름, 하룻밤 이 4개의 단어는 각각 단어 형성 방법이

어근+(어근+접미사), (어근+접미사)+어근, (어근+어근)+접미사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왜 그런지 설명해 주세요.


2. 집집이, 일일이 등의 단어는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된 것이라 알고 있는데 그럼 앞에 집집과 일일은 단순한 명사의 반복으로 봐야 하나요, 아니면 어근과 어근이 결합한 합성어에 접미사가 결합한 파생어로 보아야 하나요?


3. 비문학 긴 지문에 딸린 긴 보기 문제(예시로 9월달 양자역학 지문 28번 문제) 중 적절한 것을 고르는 문제에서 보통은 <보기>의 특징을 파악한 후 지문에 관련된 부분을 찾아 주관식으로 답을 정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이 문제는 그 방법이 적용되지 않는 형태의 문제인 듯한데 그럴 경우엔 1번부터 천천히 따져보는 방법밖에 없는 건가요? 

yeona0801 2017-11-07 오전 10:55:47
선생님♡ 수능도 배틀과 비슷한 난이도로 나오나요..? 아니면 더 어렵나요ㅠ 배틀 그래도 꾸준히 제 기준 좋은 성적 유지하고 있는데 걱정이네요ㅜ
bella9910 2017-11-07 오전 9:15:40

1.쌤 battle 16 22번에 1번이 틀린이유는 '꿈의 삽입을 통해 환상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에서 환상적 분위기 조성이 아니기 때문인거잖아요 그렇다면 숙향전에서 꿈의 삽입의 기능은 무엇인가요? 문제 해결의 실마리??

2. 꿈 삽입을 통해 환상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고전소설에는 대표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구웅몽도 맞나요? 

3. '인물 간의 대화를 통해 주인공이 처한 상황과 내면을 드러내고 있다' 이 선지는 마치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특정인물의 시각에서~' 선지가 항상 맞는 것처럼 거의 대부분의 고전소설에서 맞는 선지라고 생각하는데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건 너무 위험한가요? 


cyu1999 2017-11-06 오후 10:44:11
B17  (노새 두 마리)  25번에서 '구어적 표현을 사용하여..' 라고 되어있는데, 구어적 표현이 사용된 곳이 어디인가요?
sts06019 2017-11-06 오후 9:17:21

선생님


'새가 슬피운다' 라는 표현은 의인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죠? 


'교태를 부리는 새' 같은 경우에는 의인법에 해당하나요??? 

nongnong 2017-11-06 오후 1:58:18

                            저 10월 23일에 질문올렸는데 아직 답변을 안해주셨어요ㅠㅠㅠ 답변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