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yhw208 2017-03-19 오후 9:26:23

안녕하세요 하이퍼 심화수업 듣는 학생 유현우입니다.

1.  선생님이 말하시는 1번문제 유형들을 풀 때,

지문으로 돌아가지 말라고 하신건 선지에 최대한 집중하라는 뜻이겠죠?

아니면 시간부족땜에 단지 그렇게말씀하신건가요?

전 대부분 돌아가지 않지만 몇몇 구체적인 정보를 요하는 선지일 땐, 돌아가고 싶거든요 너무나.. 어떡하죠


2.  선생님께서 정답이 보이면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라고 하셨습니다. 그렇게 공부한지도 벌써 한달인데, 문학작품 문제를 풀 때 오답률이 너무 높습니다. 문학만큼은 모든 선지를 다보고  틀린 선지를 지워가면서 푸는건 안좋을까요?

 대표적으로 vol.1 권 73p 46번문제에서,

1번선지를 쉽게 적절하다고 인정하기 힘듭니다. 만약 더 내려갔으면 3번선지도 인정하기 어려워 두 선지에 대한 가치 판단을 한번 더 할수있었을지도 모른단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awheyh98 2017-03-19 오후 7:52:18


선생님! vol.1 질문이요!

1. 선생님께서 수업시간에 1인칭 시점은, 특히 현대 소설 1인칭 시점은 구어적 표현이 드러나 있다고 하셨는데 그럼 전지적 작가 시점은 구어적 표현이 드러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건가요?

2. p.39 5번 문제 보기 1번 해설에 (가)에서는 화자와 까마귀의 처지가 유사함을 들고 있다고 써있는데 그걸 어떻게 아나요?


inseng 2017-03-19 오후 6:28:56

이번 3월모의고사에서 고전산문 문제를 틀렸습니다. 선생님께서 그런 학생들은 고전소설을 많이 읽어보라고 하셨는데, 문제집을 하나 사서 설명 읽고 문제를 푸는 게 나을까요 아니면 고전 소설 전문을 찾아서 읽어보는 게 나을까요?

lini5675 2017-03-19 오후 3:45:21
3권 88번 문제 1번 답지가 무슨 뜻으로 쓰인 건지 설명해주세요.
lini5675 2017-03-19 오후 3:43:16
3권 68쪽 초설에서요 고향이 그리운 걸 강조하기 위해 반어법 사용해서 '~있지 아니하고'라고 시가 쓰인 거잖아요. 17번 문장부터도 강조하려 반어법으로 '끝났다'라고 쓰인 건가요? 아님 화자가 고향을 떠났기 때문에 진짜로 추억이 끝났다는 건가요?해설지에서 16번 문장까지는 반어를 풀어서 쓰셨는데 밑에서부턴 시 그대로 끝났다라 쓰셔서 헷갈려요
oboxer2130 2017-03-19 오후 12:07:19
학교에서 수능특강 문학을 진도로 나가고, 독서는 수행평가로 진행하고 있는데 수특은 어떤 방식으로 공부해야 될까요?
jacker9904 2017-03-19 오전 10:49:35

  선생님 93쪽에 91번 문제에서 4번 선지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철근의 변형 정도가 작다와 철근이 복원하려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가 같은 의미인가요?? 그리고 92번 문제를 보면 철의 변형 정도가 작은데 철의 포아송 비가 콘크리트의 포아송 비보다 더 크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97번 문제애서 성에꽃에 대한 심미적 태도를 찾으라고 하는데 4번 선지는 왜 안되는 것인가요?? 여기서 성에꽃은 서민들의 한숨을 나타내는것이기 때문에 맞지 않나요?? 

eyescat123 2017-03-19 오전 1:57:48
선생님 우의적이란게 뭐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