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billy9997 2017-08-22 오전 1:32:57
그동안 선생님께서 일단 문단을 끝까지 읽고 다시읽지않고 중요한 내용을 머리로 생각해보라고 하셔서 하고 잇는데요. 하다보니까 문제가 있는데 일단 문단이끝나고 생각해보고 안되면 그 문단을 다시 읽고 이런 방식으로 하니까 한 지문에 30~40분씩 쓰는데 시간낭비인가요? 그리고 한 문단을 기껏 요약해놓으면 다음문단을 열심히읽고 요약하는동안 앞내용이 기억이 잘 안나는데 그럼 더 짧게 요약해야된다는얘긴가요?
nongnong 2017-08-21 오후 10:05:50

수특 문법문제중에

여보,언제나 당신의 말에 귀를 기울일게요

라는 문장을 주고 당신이 인칭대명사라고 나왔는데요

여기서 당신은 여보를 다시 나타내니까 재귀대명사 아닌거요?

dwred12 2017-08-21 오전 1:56:36

저번에 올렸던 질문과 답변입니다.

질문)A9 2번에 1번 선지가 왜 틀린 말인 건지 모르겠어요... '변화맹의 불합리성'이 '감각경험에 대한 자신만의 특권을 주장하기 때문에 생긴다.' 라는 선지와 5번째 문단의 '변화맹은 불합리하다. 나의 감각에 대해서는 나 자신이 특권을 가지므로 내가 나의 감각에 오류를 범할 수 없어야 한다' 완전히 같은 말 아닌가요???

그리고 샘께서 수업하실 때 지문에선 변화맹의 불합리성이 ~ 때문에 생기는 거고 1번 선지는 변화맹이 ~때문에 생기는 거여서 틀린 거라고 하셨는데 1번선지의 주어는 변화맹의 불합리성인데 왜 변화맹이~라고 해석하신건가요?? 

답변)선택지의 '변화맹의 불합리성'은 '변화맹이 불합리하다'의 의미이므로 '변화맹이'라고 설명한 것이고, 선택지와 지문의 의미는 완전히 다릅니다. 지문의 의미는 감각은 나만의 특권인데, 내 감각에 대해서 모른다고 말하는 변화맹은 말도 안 된다는 의미이고, 선택지는 '변화맹이라는 불합리성이 생기는 이유는 내 감각에 대해 특권을 주장하기 때문이다'입니다. 두 표현이 같아 보이나요?

아직도 이해가 안가요ㅠㅠ...그리고 '변화맹이라는 불합리성'이 아니라 변화맹의 불합리성 아닌가요??



jjw9830 2017-08-20 오후 10:07:39

analysis9 p8쪽에 9번문제에 보기 5번이 답이 안되는 이유는 '인격권과 동일하게 인격을 상징하는 성명이나 초상을 보호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 말이 '권리 자체가 혼합적 성결을 띨 수 밖에 없다는 한계'를  '때문에'로 연결 못해서 인가요?


fernandho 2017-08-19 오후 2:41:35

봄이 되면 개나리가 핀다

에서 봄이 는 주어인가요 보어인가요?

striker989 2017-08-18 오후 10:12:56

선생님의 풀이법의 체화를 통해 제가 느끼기에도 사회와 인문지문은 거의 마스터했다고느끼는데 이놈의 기술지문이 발목을 잡네요.... 


과학, 기술 중에서도. 인문처럼 내용상 대립쌍이 존재하는 경우 등의 글의 구조를 파악하기 용이한 지문은 그다지 어렵지 않은데 항상 보면


처리할 정보가 많은 지문에서 고전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이번 분석교재 17p 논리회로 지문이요.... 이런지문에서 보면 항상 핵심 소재의 '처리 과정' 이 나오는데, 논리회로지문같은경우 3 4 5 문단이 해당되겠네요


이건 과학,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그냥 정보량이 많은 지문을 못읽는거같습니다....  


쌤께서는 이부분을 그냥 넘기고 나중에 문제풀때 다시 보라고 하시는데, 저는 이방법을 쓰니 오히려 역효과가 나는 것 같습니다. 저 복잡한 부분을 넘길 때 주위 부분들도 다 넘어가게 되어서 실질적으로 그 문단에 해당하는 내용은 막줄 빼고는 없다고 봐도 됩니다.  


제가 아직 선생님의 방법을 잘 이해하고있지못한건가요??  제가 성적표를 분석하면서 문학 전체랑 복잡한비문학이 문제라는 것을 깨달았는데, 문학은 그동안 비문학 파온 것처럼 집중적으로 파면 점수 충분히 올라가고도 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근데 이 복잡한 지문학은 잘 해결이 안되는것같네요. ㅋㅋㅋㅋㅋ 어떻게 하죠

didierdrogba11 2017-08-17 오전 11:44:21
고전시가 2 규원가 12번에서 왜 대유법인가요? 대유법은 부분으로 전체를 비유하는 방식인데 봄바람과 가을물이 세월의 부분이라 할 수 있나요?
고전시가2 만분가 17번에 해석이 이해가 안되서요 남이 없는 임이 백구이라면 갑자기 왜 임금이 계신 백옥당의 꿈 조차 향기롭다 하는건가요? 남이 없는 임을 임금으로 해석한다면 꿈속에서 임금을 만나 꿈 조차 향기롭다 하는것 아닌가요?
고전시가2 만분가 25번에 해석이 이해가 안되서요 갑자기 닭의 얼굴 첫맛을 모른다는 것이 뭔가요? 
고전시가2 속미인곡에서 갑녀와 을녀의 대화로 이루어진 시가이니 중간에 을녀가 산에 올라가고 강가로 가고 집에 와 잠이 든 일을 갑녀에게 말하는 것이라고 보면 되나요?
고전시가2 속미익곡 46에서 어엿븐 그림재를 감정이입으로 볼 수 있나요?
고전시가2 속미인곡49에서 구즌비와 낙월을 표현론적 관점에서는 어떻게 보면 되나요? 구즌비는 조정으로의 복귀 의지가 있다고  보는것은 무리인가요?
A8 비문학 2번째 지문 79번 문제에서 경우의 수가 많은 경우 특징을 비교하라고 하셨는데 A,B를 고르신 이유가 A,B가 동일한 특징(온도,D값)이 가장 많아서인가요? 
A8 문학 시 고향앞에서 85번 문제에서 1번 선지가 틀린 이유가 수업시간에는 주인집 늙은이가 슬퍼하는 이유를 모르는것이라고 하셨는데 나눠주신 답지에서는 주인집 늙은이가 화자의 슬픔에 공감한다고 나와있네요. 어느것이 정확한 해석인가요?
B6 23번 문항에서 2번선지는 전우치가 그린 그림은 소설의 배경으로 볼 수 없으므로 틀린 선지인가요?
B6  26번 문항 1번 선지가 잘 와닿지 않습니다 제가 이질적과 연결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봤는데 <이질적 : 성질이 다른 / 연결하다 : 사물과 사물 또는 현상과 현상이 서로 이어지거나 관계를 맺다>인데, 이것에 따르면 "이질적인 두 공간들을"이 정확한 표현아닌가요?  앞에 '현재의 공간과' 가 생략된건가요? 2번 선지에서 전우치는 역모를 꾸민 적이 없으므로 역모죄로 잡힌 것은 억울한 일이라 볼 수 있는데 그림이 이것을 해결하는 것한다고 볼 수 없는건가요?
B6 27번 문항에서 2번 선지 긴박감은 긴장감과 같고 시적 긴장감은 효과이므로 긴박감도 효과인가요? 4번선지 운동감은 효과가 아니라 판단해야 하는 선지가 맞나요?
질문이 두 개로 나눠져있어서 합쳤더니 너무 많네요 죄송합니당

wisejin111 2017-08-16 오전 1:24:13

화작에서 '위 발표에서 사용한 발표 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런 문제 풀 때요

예를 들어 '발표의 준비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혀 발표 내용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라는 틀린 선지가 있으면 이게 지문에 없다는 걸 찾기 위해 지문을 전체적으로 다시 훑어야 되나요?

아무리 잘 읽었어도 이런 선지를 맞닥뜨리면 '혹시 있는데 내가 안본거 아닌가' 이런 생각에 이런 문제만 나오면 시간을 엄청 끌게 되요ㅠㅠ 6평 화작에서 글쓰기 전략 문제 풀 때도 비슷했어요ㅠ

발표전략이나 글쓰기전략 관련 부정형 문제는 차라리 있는 발표전략이나 글쓰기전략 찾고 그 선지들을 다 지우고 답 고르는게 그나마 빠르긴 한데.. 애초에 지문을 정확히 읽었어야 한건가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