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2 규원가 12번에서 왜 대유법인가요? 대유법은 부분으로 전체를 비유하는 방식인데 봄바람과 가을물이 세월의 부분이라 할 수 있나요?
고전시가2 만분가 17번에 해석이 이해가 안되서요 남이 없는 임이 백구이라면 갑자기 왜 임금이 계신 백옥당의 꿈 조차 향기롭다 하는건가요? 남이 없는 임을 임금으로 해석한다면 꿈속에서 임금을 만나 꿈 조차 향기롭다 하는것 아닌가요?
고전시가2 만분가 25번에 해석이 이해가 안되서요 갑자기 닭의 얼굴 첫맛을 모른다는 것이 뭔가요?
고전시가2 속미인곡에서 갑녀와 을녀의 대화로 이루어진 시가이니 중간에 을녀가 산에 올라가고 강가로 가고 집에 와 잠이 든 일을 갑녀에게 말하는 것이라고 보면 되나요?
고전시가2 속미익곡 46에서 어엿븐 그림재를 감정이입으로 볼 수 있나요?
고전시가2 속미인곡49에서 구즌비와 낙월을 표현론적 관점에서는 어떻게 보면 되나요? 구즌비는 조정으로의 복귀 의지가 있다고 보는것은 무리인가요?
A8 비문학 2번째 지문 79번 문제에서 경우의 수가 많은 경우 특징을 비교하라고 하셨는데 A,B를 고르신 이유가 A,B가 동일한 특징(온도,D값)이 가장 많아서인가요?
A8 문학 시 고향앞에서 85번 문제에서 1번 선지가 틀린 이유가 수업시간에는 주인집 늙은이가 슬퍼하는 이유를 모르는것이라고 하셨는데 나눠주신 답지에서는 주인집 늙은이가 화자의 슬픔에 공감한다고 나와있네요. 어느것이 정확한 해석인가요?
B6 23번 문항에서 2번선지는 전우치가 그린 그림은 소설의 배경으로 볼 수 없으므로 틀린 선지인가요?
B6 26번 문항 1번 선지가 잘 와닿지 않습니다 제가 이질적과 연결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봤는데 <이질적 : 성질이 다른 / 연결하다 : 사물과 사물 또는 현상과 현상이 서로 이어지거나 관계를 맺다>인데, 이것에 따르면 "이질적인 두 공간들을"이 정확한 표현아닌가요? 앞에 '현재의 공간과' 가 생략된건가요? 2번 선지에서 전우치는 역모를 꾸민 적이 없으므로 역모죄로 잡힌 것은 억울한 일이라 볼 수 있는데 그림이 이것을 해결하는 것한다고 볼 수 없는건가요?
B6 27번 문항에서 2번 선지 긴박감은 긴장감과 같고 시적 긴장감은 효과이므로 긴박감도 효과인가요? 4번선지 운동감은 효과가 아니라 판단해야 하는 선지가 맞나요?
질문이 두 개로 나눠져있어서 합쳤더니 너무 많네요 죄송합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