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Tjdrhs68 2017-08-29 오전 12:38:39

Q1) A10 초토의 시1 

분석지에 나와있는 일상적 표현으로 바꾸기 중에서

두번째 문장이 '아이들의 얼굴이 눈부셔서 해가 돌아서고'라고 되어 있습니다.

수업시간에 선생님께서는 이를 해가 돌아서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맞는건가요?


Q2) Battle 8 11번 문항

11번 문항에서 5번 선지 '세율의 높고 낮음에 따라 노동자는 자신의 노동 시간 조절을 탄력적으로 조절하기가 더 어려워진다.'라고 나와있습니다. 세율이 변동함에 따라 노동 시간 조절의 탄력성도 변화하니까 맞는 선지 아닌가요?

heather0588 2017-08-28 오후 11:40:54


                            B8  5번 문제에서 ㄱ. 토끼의 실체는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에서

 

토끼의 실체=이데아 인데 지문에서는 이데아의 참실재를 나누어갖고있다고했으니깐

온전한 이데아가 아니지 않나요>?

 

yujin99 2017-08-28 오후 10:09:38
Check9의 33번의 4번 선지에서 구체적인 대상을 활용하여 괸념적인 생각을 구체화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가요?
nongnong 2017-08-28 오전 10:51:49

1.전지적작카시점에서는 서술의 초점을 특정인물이 처한 상황에 맞추고있다는 말이 항상 옳다고 하셨는데요

제한적 전지적작가시점에서는 항상 맞지만 일반적으로 전지적작가시점에서는 여러 인물의 내면을 설명할수 있으니까 특정인물에게만 초점을 맞췄다는건 항상 성립하는 말은 아니너 같아서요


2. 내면적갈등은 a와 b 사이에서 고민하는건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왜그런지 모르겠어요..


3. 시간이 역설적으로 표현되어있다는게 무슨 의미인가요..

e_robin 2017-08-27 오후 11:27:21
문학문제를 풀때, 시나 소설을 먼저 내용중심으로 읽고나서 표현을 물어보는 문제가 나오면 다시 되돌아가는 방법이 좋을까요 아니면 표현을 물어보는 문제가있으면 표현중심으로 읽고 푼뒤 다른 문제 손대는것이 낳을까요?
eyescat123 2017-08-27 오전 2:38:14


1. A9에 2번 1번선지 왜틀리나요?? 선생님께서 인과관계가 반대로 됐다고 하신거 같은데 5문단보면 '나 자신이 특권을 가지므로 내가나의 감각에 대해서 오류를 범할 수 없어야 한다.' 라고 되어있고 나의 감각에 대해서 오류를 범하는 게 변화맹이니까 '나 자신이 특권을 가지므로(원인) 변화맹은 불합리하다(결과)' 아닌가요??

 

2.  8번에 4번 선지가 틀린게 정확히 어느 부분 때문인가요? 

3.  31쪽 25번 1번 선지 보면 시간이 역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는데 여기서 '역설적'이란게 순행적이 아니라는 말인가요?

그러면 '역설'이라는 말 뜻에는 1) 표현법 중에 역설법  2)무언가를 강조할때  3) 여기 나오는 시간에 있어서의 표현

이렇게 3가지가 있는 건가요? 

 

trisprior1347 2017-08-26 오후 10:32:28
ㅠㅠ 선생님 A9에서 2번 문제의 1번선지가 왜 틀린 건가요ㅠㅠㅠㅠㅠㅠㅠ 
jjw9830 2017-08-26 오후 8:52:02
반복적 언행의 뜻이 무엇인가요? 똑같은 말과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비슷한 느낌의 말과 행동도 가능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