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msh1028 2017-10-15 오후 9:09:18

check 14 36번 5번 선지에서 사건을 병렬적으로 제시했다고 하는게 무슨 뜻이에요? 동시에 두 사건이 병치되는걸 말하는건줄 알았는데 그거만은 아닌거 같네요
ksilvia00 2017-10-15 오후 7:07:01

쌤 안녕하세요

소설에서는 A를 통해 B하고 있다 형태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우선 시에서 배웠던 것처럼 B를 먼저 판단하고 그다음에 A가 있는지 보는 건 동일한데, 시랑은 다르게 줄글이고 안에 인물들이 한두 사람이 아니라 다양하다 보니 서술자나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는 게 부족한 것 같아요.

예를 들자면 배틀4 21번에 저는 ㄱ를 골라서 틀렸거든요

탈향에서 두찬이와 광석이가 양 끝에 앉은 건 맞는데.. 이게 꼭 심리적 거리감을 표현하나? 나중에 둘이 사이가 틀어지는 건 맞지만 처음에 앉았을 때부터 둘이 거리를 뒀나..? 그런 식으로 따지면서 읽다보니까 아무리 봐도 그게 틀린 거 같은 거에요ㅠ 근대 틀린 보기는 체크하고 바로 넘어가다 보니까 4번이 정답인데 읽지도 않고 넘기고ㅠㅜ 어떡해야 할까요??

저는 시보다 소설이 약한 거 같아요 힝 ㅜㅜㅜ

sj991006 2017-10-13 오후 7:40:53

battle 13에서 21번의 답이 2번인 이유를 모르겠어요..

주인공은 소년이 공부해서 자신처럼 소시민적으로 살지 않길 바라는 것 아닌가요?


nongnong 2017-10-13 오전 7:01:49

C14 11번 문제에서

5번 선택지가 답이잖아요

부사어는 용언을 수식하기도 하는군.이라고 바꾸면 맞나요?

/뒤 문장의 첫사랑에 는 필수적 부사어인가요? 

esky143 2017-10-12 오후 9:13:06


                           선생님 b13회 27번문제에서요

 

'파도가 아가리를 처들고 달려드는' 에서 파도가 청각적 이미지, 아가리를 처들고 달려드는 이 시각적 이미지로 볼 수는 없나요?

 

시험 볼 당시에는 제 논리가 완전 맞다고 생각하면서 확신했는데, 집와서 채점하니까 좀 제 자신이 웃기기도 한데 ㅋㅋㅋㅋㅋㅋㅋ

 

그렇게 볼 수 없는 결정적인 근거나 이유가 있나요 ㅠㅠ 

striker989 2017-10-11 오후 9:29:11

a 교재 시 고고 에서

문제 1번 정답을 보면 고고 시가 화자가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삶의 자세가 담겨있다고 했는데, 


논리적 비약 아닌가요? 저는 이게 대상의 고고함을 예찬하는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이 시가 어떻게 화자가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삶의 자세로 이어진거죠? 게다가, 고고함은 사물의 속성인데, 이게 삶을 대하는 자세라고 할 수 있나요??





교재 외 질문으로는,  9평 이후 친 배틀과 체크 점수가 정말 들쭉날쭉합니다.... 낮게 나와도 안정적으로 나오면 아 그렇구나 내 실력이 모자라지 이럴수있ㅆ는데

이건 뭐,,  배틀 11는 70점대 초반이고 배틀 12는 상위 30에 근접했네요. 13회는 또 평균보다 낮고요..(이상하게 1등급은 떴네요..?) 


체크도 마찬가지입니다. 12는 배틀 11처럼 죽쒔느네 14회는 상위 30점수 보다 2점 높네요.


13은 풀었지만 제출을 안했습니다.


이상하게 이감모의고사 보는건 최근에 점수가 꾸준히 오르고 있어서.. 대체 뭐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푸는 환경엔 차이가 없거든요.


긍정형 문제를 잘 못푼다는 걸 감안해도,


도대체 이 기현상이... 왜 이런건지 모르겠네요

erickang0311 2017-10-11 오후 2:26:03
A교재 164쪽 31번 3번선지 관련 질문인데요 파초의 잎을 치맛자락으로 비유한 이유는 뭔가요 이를 통해 나는 파초에 대해 어떤 감정을 느낀걸까요
nongnong 2017-10-11 오전 11:49:30

check 14 

1. 8번 객채높임 선어말어미 넣는 문제에서 매개모음을 취하는 어미 앞에서 순경음ㅂ을 받침으로 쓴다고 나와있는데.. 매개모음이 뭔가요..?? 학교 수업시간에도 얼핏 들은거 같은데 수특이나 일반 문법책에 매개모음 얘기는 없어서요

2. 유광억전 36번 문제에서 1번선택지와 5번 선택지를 모르겠습니다. 중략 2번의 앞 뒤를 경계로 다른 사건이 병렬적으로 제시되어 이다고 보는건가요? 그냥 쭉 이어지는 하나의 사건 같아서요

3.  제 3 인간형 47번에서 '시간의 흐름을 비약시켜 과거와 현재의 사건을 연계하고 있다.'는 선지가 나왔는데 이게 무슨 뜻인가요? 과거 사건을 서술하다가 갑자기 현재 사건으로 뛰어넘었다는 건가요? 아니면 현재 사건을 서술하다가 과거 사건으로 돌아갔다가 다시 현재로 돌아오는 역순행적 구성 같은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