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bluey0410 2017-11-01 오전 8:42:15
쌤 고전시가에서 기러기가 계절을 상징하는 소재라고 볼 수 있어요?
sarahpyeon 2017-10-31 오전 11:43:36
시를 읽을 때 '탈속적이다'라고 말하려면 속세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세속적이지 않은 것들을 지향하면 되는 것 아닌가요? 탈속적이라고 판단하기 위해 꼭 고려해야할 점들을 알려주세요.. 문제집에서 상춘곡 문제를 풀다가 탈속적 태도가 아니라는 말에 헷갈려서 올립니다ㅠㅠ
billy9997 2017-10-31 오전 12:01:43
비문학을 읽을때 문단별로 화제나, 인문같은 경우는 중요한내용 하나를 이해하고 넘어가면서 읽는거맞죠??그리고글을 다 읽었으먼 막상 내용들이 다로따로 떠다니는 느낌이라 뭉쳐줘야될거같은데 어떡하죠??
fernandho 2017-10-30 오후 4:56:33
11월 11일날 수업있나요?
ytreesun 2017-10-30 오후 4:48:58

1.2018년 6월 수기치인  18번 문제에서요 ㄱ의 수기치인에 대한 이해이고 답은 '수기와 치인 모두 천도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인데 이게 수기치인의 핵심내용이라고 할 수 있나요?

2. 20번 문제는 선조가 이와 기에 대해 잘못된 견해를 제시한것이 옳지 않아 답이 되는 것인데  이 역시 세부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지 않나요? 


maylynnlee 2017-10-30 오후 3:14:03
선생님, 제가 모의고사를 풀 때 꼭 한 개씩 틀리는 유형이 단어의 사전적 의미 파악입니다. 단어의 뜻은 알겠는데 사전적 의미 선지를 너무 세세하게 분석하기도 해서 자주 틀리는데 이런 유형은 어떻게 학습하는 게 좋을까요?
lynn0804 2017-10-30 오전 11:39:42
B15  18번 2번선지의 내용 중 '사람으로 더불어 말할 수 없는 슬픔'에는 화자가 느끼는 정서뿐만아니라 그정서를 유발한 원인도 함께표현되어 있다. 에서 그 정서를 유발한  원인이 드러나있지않다고  판단했는데,   오답할 때에도 2번선지가 왜 맞는선지인지 이해가 가지않아요. 정서를유발한 원인이 어디에 드러나 있나요?                  20번 정답해설을보면 일화나 주제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프레임이라는 준거의 틀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적절하다고 하는데, ㄱ과ㄴ 모두 프레이밍에속하므로  특정방식으로 재구성한다는 5번선지의 내용은 이해가 가는데 준거로제시하는 방식이다 라는 내용이 이해가 되지않아요. 지문 내용상 프레이밍이 이루어지면 프레임이 만들어지는건가요?
clarao33 2017-10-29 오후 11:36:13


쌤 요즘 문학 보기3번을 자꾸 틀려서 걱정이에요
제 생각엔 보기를 보면 거기 나와있는건 다 맞아보여서 자꾸 답 판단을 대충하게 되는거 같아요

그래서 지금 다시 보기를 안보고 풀고있긴 한데요

제 기억상 쌤이 예전에 보기를 봐야하는 문제가 있다고 말씀하신게 어렴풋이 기억이 나는데 (제가 잘못 들은 걸 수도 있어요!)

그냥 수능때 보기 안보고 풀어도 별 탈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