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jay319 2018-08-08 오후 5:19:50

체크15 34번에서 왜 문맥상 달아준다 를 설치해준다로 바꾸어 쓸 수 없나요? 

35번에서 보기 4번에서 중국의 대신들이 흠모하지 않고 시기하는 마음을 지니니 4번 보기도 맞을 수 있지 않나요?? 

jay319 2018-08-08 오후 4:39:42

체크15 14번에서 답이 5번인 이유가 '그는 여전히 밝고 명랑했다'가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이어서 그런 건 가요?? ㄹ보기는 '오랜만에 만난'이 안겨 있는 안은문장이기도 하지 않나요???


tommy9068 2018-08-07 오후 2:04:24
hyunseo0116 2018-08-07 오후 12:22:28

비문학 과제 3

비문학 1

문단 1) 건강 진단이나 범죄 현장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검사용 키트는
과학적이며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항원-항체 반응을 응용한다. 다양한
키트 중에서도 가장 휴대성이 높고 분석 시간은 적은 측면유동면역분석법(LFIA)이 있다.

문단 2) LFIA 키트는 막대 모양으로 시료 패드, 결합 패드, 반응막, 흡수
패드로 이루어져 목표 성분의 존재하는지에 대해 알 수 있다. 키트의 반응막에 있는 검사선이 발색되면
목표 성분의 존재를 알 수 있고 표준선이 발색되면 검사가 잘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문단 3) LFIA 키트는 주로 직접 방식 또는 경쟁방식으로 제작된다. 직접 방식은 목표 성분에 결합가능한 항체를 가지고 있으며 세균이나 분자량이 큰 단백질의 종류를 검출할 때 이용하고
경쟁 방식은 목표 성분 그 자체로 목표 성분의 크기가 작을 때 이용한다.

문단 4) 검사용 키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성이다. 정확성을 위해 여러 번 검사하고 목표성분이 존재하면 양성이라고 한다. 양성에서도
실제로 목표성분의 유무에 따라 진양성과 위양성으로 나뉜다. 그리고 목표 성분이 없는 경우를 음성이라
하며 실재 유무에 따라 진음성과 위음성으로 나뉜다.

문단 5) 정확도에서는 민감도와 특이도로 나뉜다. 민감도는 목표 성분이 존재하여 양성으로 판정한 비율이고 특이도는 목표 성분이 없어 음성으로 판정한 비율이다. 현실에서는 정화도 높은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키트를 선택할 때 민감도와 특이도를 고려해야 정확도가 높아진다.

전체 요약) 건강 진단과 범죄 현장 조사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키트 중에서도 항원-항체 반응을 응용하여 만든 측면유동면역분석법(LFIA)
있다. 이 키트는 시료 패드, 결합 패드, 반응막, 흡수 패드가 나열된 구조로 검사선을 통해 목표 성분의 유무를
판단하고 표준선을 통해 검사가 올바르게 진행되었는지 알 수 있다. LFIA 키트는 주로 목표성분과 결합
가능한 항체가 들어있는 직접 방식과 목표 성분이 들어있는 경쟁방식으로 나뉜다. 검사용 키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성으로 정확도는 양성 판정 비율인 민감도와 음성 판정 비율인 특이도로 나뉘게 된다.
둘을 고려해야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비문학 2

문단 1) 빛을 이용하는 광통신은 매우 빠르지만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면
빛의 세기가 감소한다. , 단위 시간 당 광자수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애벌랜치 광다이오드 반도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문단 2) 애벌랜치 광다이오드는 흡수층, 애벌랜치 영역, 전극으로 이루어져있다. 흡수 층에서는 에너지가 많은 광자가 전자와 양공 쌍이 만들어 지고 이것의 갯수를 양자 효율이라고 부른다.

문단 3) 흡층에서 전자는 애벌랜치 영역을 지나며 강한 전기장으로
인해 큰 속도를 갖게 되고 원자들과 충돌하여 속도가 줄어들고 전자-양공 쌍이 만들어 지는 것이 충돌
이온화 현상이다. 충돌 이온화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전자 수가 늘어나는 것을 애벌랜치 증배라고 한다. 전극으로
방출되는 전자의 수를 증배 계수라고 하며 전자장의 크기가 크고 작동 온도가 낮을수록 커진다. 이런 과정을
통해 광신호 세기가 전류의 크기로 바뀐다.

문단 4) 애벌랜치 광다이오드는 반도체 물질에 따라 검출 가능한 빛의
파장 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와 그들의 요구를 위해 여러가지 종류의 광다이오드를 만들고 있다.

전체 요약) 빠르긴 하지만 케이블 길이가 길어지면 빛의 세기가 줄어드는
광통신을 위해 애벌랜치 광다이오드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애벌랜치 광다이오드는 양자 효율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전자가 큰 속도로 원자들과 충돌하여 새로운 전자-양공 쌍을 만들어내는 충동 이온화가 나타난다. 이 현상이 반복되어 전자 수가 크게 늘어나는 것을 애벌랜치 증배라고 한다. 전자 수가 늘어나는 정도를 증배 계수라고 한다. 애벌랜치 광다이오드는 반도체 물질에 따라 빛의 파장 영역이 달라 여러 종류로 사용되고 있다.

비문학 3

문단 1) 부활절을 정확한 날에 지키기 위해 교황청은 과감하게 10일을 없앴다.

문단 2) 평년이 365, 4년보다 조금 더 길었던 윤년은 366일로 부활절을 정확하게 지키지
못하는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그래고리우스는 10일을 없앴다.

문단 3) 릴리우스는 코페르니쿠스가 지구 공전의 주기를 1년으로 본 것을 알고 있었고 이것이 그레고리력의 기초가 되었다.
기초를 가지고 절기에 부합하는 역법을 만들어 내고자 했다.

문단 4) 릴리우스는 알폰소 표에 제시된 회귀년 길이의 평균값인 365 5시간 49 16초로 율리우스력보다 시간이 줄어들게 되었다. 그레고리력은 절기에
더 잘 맞는 특성을 갖게 되었다. 종교적으로 만들었던 새 역법은 일상생활에서도 쓰이게 되었다.

전체 요약) 사용하고 있던 율리우스력이 절기에 맞지 않아 부활절을
보다 더 정확하게 지내기 위해서 릴리우스가 알폰소 표에 제시된 가장 절기와 부합하는 1년의 시간을 찾아
그것이 종교적 절기를 더 정확히 지키는 것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

비문학 4

문단 1) 사람은 효소를 이용하여 비섬유 요소를 포도당으로 분해하고
그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사람에게는 셀룰로스가 없어 섬유소를 소장에서 이용하지 못한다. 동물도 그렇지만 비섬유소와 섬유는 모두 이용한다.

문단 2) 반추 동물은 위가 4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있다. 반추위에서 사는 미생물 중 하나인 피브로박터숙시노젠(F)은 섬유소를 분해한다. 이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으면 셀룰로스를
노출시켜 포도당으로 분해 할 수 있다. 이 미생물은 대사과정을 거쳐 애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생존하며 개체
수를 늘려간다. 아세트산은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반면 숙신산은 다른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 빠르게
소진된다. 여기서 생성된 프로피온산은 반추 동물이 간에서 포도당을 합성하는 대사 과정의 주요 재료가
된다.

문단 3) 녹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스트렙토코쿠스보비스(S)도 반추위에 살고 있다. 포도당을 자신에게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세포 내 산성도에 따라 배출하는 대사 산물이 달라진다.

문단 4) S가 과도하게 생장하면 반추 동물에게 악영향이 미친다. 짧은 시간에 과도한 양의 비섬유소를 섭취하게 되면 과도한 양의 젖산으로 산성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젖산을 배출하는 락토바실러스루미니스(L)는 젖산만 대사산물로 배출한다. 과도한 젖산은 산성도를 높여준다.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를
사용하고 생장이 감소한다. S,L PH. 5.5 까지
견딜 수 있어 산성에 강하다.

전체 요약) 사람과 동물에게 모두 중요한 탄수화물은 필수 에너지원으로
반추 동물들은 비섬유소와 섬유소를 둘 다 사용한다. 위가 네 개의 부분으로 서식하는 3개의 미생물이 있다. 바로 섬유소를 분해하는 대표적인 피브로박터숙시노젠(F), 녹말을 분해하는 스트렙토코쿠스보비스(S), 산성도에 따라 대사
산물이 달라지는 락토바실러스루미니스(L)이 있다. S는 과할
경우 산성이 높아져 반추 동물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 각자
감당할 수 있는 산성도가 다르다.

비문학 5

문단 1) 지레에는 돌림힘의 원리가 들어있다.

문단 2) 돌림힘은 물체의 회전 상태에 변화를 일으키는 힘이다. 같은 힘이어도 회전축과 거리가 얼마나 먼지에 따라 회전 상태의 변화 양상이 달라진다. 돌림힘의 크기는 회전축에서 거리가 가해 준 힘의 크기의 곱으로 표현되며 단위는 N·m(뉴턴 미터)이다.

문단 3) 동일한 물체에 작용하는 두 돌림힘의 크기의 합을 알짜 돌림힘이라
한다. 방향이 같으면 크기의 합이고 방향이 다르면 크기의 차가 된다.
두 돌림힘의 크기가 같고 방향이 다르면 알짜 돌림힘은 0이고 돌림힘은 평형이 된다.

문단 4) 회전 속도의 변화는 물체에 알짜 돌림힘이 일을 작용해 주었을
때만 일어난다. 알짜 돌림힘이 한 일은 알짜 돌림힘의 크기와 회전 각도의 곱으로 단위는 J()이다.

문단 5) 알짜 돌림힘에서 물체를 돌리려는 방향과 물체의 회전 방향이
일치하면 양의 일을 하여 운동 에너지와 회전속도가 증가하고 그 반대이면 음의 일을 하여 운동 에너지와 회전 속도가 감소한다.































































전체 요약) 지레에 있는 돌림힘의 원리는 물체이 회전 상태에 변화를
일으키는 힘의 효과로 같은 힘이어도 회전축과 거리가 얼마나 먼지에 따라 회전 상태의 변화 양상이 달라진다. 알짜
돌림힘은 동일한 물체에 작용하는 두 돌림힘의 크기의 합으로 방향이 같으면 크기의 합으로 반대이면 크기의 차가 된다. 알짜 돌림힘이 물체를 돌리려는 방향과 물체의 회전 방향이 일치하면 양의 일을 하며 운동에너지와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이면 운동 에너지와 회전 속도가 감소한다

eungyo1015 2018-08-05 오후 6:39:41
jh7587 2018-08-05 오후 6:21:33
jh7587 2018-08-05 오후 6:19:08
ocs6205 2018-08-05 오후 12: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