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차 모의고사 오답노트
2.정답:2, 실제 사례와 효과가 직접 제시되어있지 않다.
오답: 3, 대체의학에서 면역법과 비슷한 원리가 사용된다는 점이 제시되어 있다.
틀린이유: 동종요법 중 하나가 지문에 제시되어 있는데 이를 실제사레와 효과로 착각했다.
4. 정답:3번, ㄷ은 출판사들이 독자의 의견을 간과하고 있다는 말에 대한 대답으로 출판사들에 대한 목적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흐름에 마지 않다. ㄹ은 소규모 출판사들의 장점을 살려가야 한다는 이야기에 유통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은 흐름에 맞지 않다.
오답: 5번, ㄴ의 경우 <독서의 힘>의 기능을 설명하여 소책자의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틀린이유: 질문과 대답에 제시된 내용을 읽을 때,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 같다.
6.정답: 3번, 자료 3번에서 가리키고 있는 애용은 10~20대 여성의 비만 인구가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50세 여성을 위한 건강음식 개발연구를 뒷받침해 주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오답:5. (나)에서 쌀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과 (라)에서 국가적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결론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틀린이유: 자료가 나타내는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지 않았다.
7.정답:5. 서론에서 문제점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은 농민들의 경제적 어려움과 국민들의 건강이 위협받고있다는 것으로 문제점에는 ㄴ,ㅁ이 들어가야한다. 이에 대한 원인은 식생활과 소비성향의 변화이므로 원인에는 ㄱ,ㄷ이 들어가야한다. 따라서 현재상황은 쌀 소비가 감소하는 추세이므로 현황에는 ㄹ이 들어가야한다.
오답:3
틀린이유: 보기를 소거하면서 풀었고 문제점, 원인, 현황이 머릿속에서 뒤죽박죽 섞여있었다. 그래서 판단하기 힘들었고 시간도 오래걸렸다.
12. 정답: 2, '학생답다'는 파생어이다. 학생+ 답다 로 분리할수 있고 어근+접미사의 걸합이며 품사가 바뀐다.c는 많+이로 분리할 수 있고 어근+접미사이다. 형용사가 부사가 되므로 품사가 바뀐다.
오답:5, a는 개+살구로 접두사와 어근의 결합이고 품사가 바뀌지 않는다. d는 먹+이+다로 어근과 접미사의 관계이고 역시 품사가 바뀌지 않는다. c는 품사가 바뀌므로 5번은 동일한 것 끼리 묶은 것이 아니다.
틀린이유: 품사가 바뀌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파생어와 합성어로 구분했다.
18. 정답: 3 ㄱ의 의미는 자유가 주어지기 이전에 타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이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므로 이얷과 같은 뜻을 가진 번호는 3번이다.
오답: 2, 타자에 대한지배를 통해서 나의 자유가 주어진다는 내용은 애초에 레비나스의 사상과 어긋나고 타자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가 자에 맞게 변화해야하므로 지배한다는 표현은 옳지 않다.
틀린이유: 선지를 잘못읽었다.
19. 정답: 2. 사르트르의 순수의 의식과 후설의 순수한 관점은 자신의 의식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기 위한 또다른 의식을 상정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답이다.
오답: 4. 사르트르의 참된존재는 스스로 본질을 부여하는 것이고 하이데거의 참된 존재는 죽음의 상황에 직면했을 때 자각하는 것으로 전혀다르다.
들린이유: <보기>에 제시된 사르트르의 관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본문에 있는 학자들과 비교 대조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
21,23,27은 좀더 생각해 보고 다시올릴게요...!
32. 정답:2, '쟁쟁쟁'은 정적의 소리이지 매미 울음 소리가 아니다. 정적의 소리가 빨려들게하는 희한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매미울음소리는 아니다.
오답: 4번, (가)시를 잘 보면 매미 울음소리가 절정으로 울릴 때와 여름이 다 갔을 떄의 상황을 사랑과 대응시키고 있다. 따라서 계적의 변화와 관련지어 파악하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는 말은 맞다.
틀린이유: 시 전체를 보지 않고 단어만 보고 판단했다. 선지를 보는 순간 '쟁쟁쟁'이 당연히 매미소리일것이라고 생각했다.
38. 정답: 1. B부분을보면 서사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건아니다. 소설에서 서사적 긴장감이 있다는 소리는 갈등이 있다는 소리인데 제시된 부분의 심청전에서는 외적갈등이나 인물의 내적갈등이 있다기 보다는 심봉사의 슬픈정서가 주로 제시되어있다. 또 A가 완전히 틀린소리이다. 빈번한 장면전환은 따질 것도 없이 오답이다.
오답: 3번, B부분은 한시의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 항상 맞는 말이고 A는 한시가 있으므로 만자.
틀린이유: 적절한것을 골랐다...
44. 정답:3번, 화자의 현재상황을 제시하고 있다는 말은 맞는 말이다. 그리고 자연물은 가, 나 모두 존재한다.
오답:?
틀린이유: 시간이 없어서 찍었다.
45. 정답:5번, 당시예 녀던길은 내가 옛 사람들의 뜻이고 십 년전 진세일념은 예전 자신이 속세에 대하여 꿈꾸던 일을 말한다. 시 내용에서보면 (가)의 경우 옛사람들의 뜻을 따르지 않고 뒤늦게 돌아왔으니 이제 한길만은 걷겠다는 의미로 반성적 태도가 있다. (나)의 경우 예전 속세에 대한 마음이 얼음녹듯이 없어진다는 뜻을 통해 예전의 마음을 정리하고 자연으로 돌아오겠다는 태도로 반성적의미가 있다. 그러나 당시예 녀던길과 십년전 진세일념이 의미상 호응을 이루고 있지 않다. 녀던길은 내가 따라갔어야 하는 것이고 진세일념은 과거에 나의 마음을 말하는 것으로 의미상 전혀 다르다.
오답:?
틀린이유: 시간이 없어서 찍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