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k80782 2019-02-03 오후 2:02:56

 

meque98 2019-01-21 오후 10:44:59
선택지에 A가 B를 함축하고 있다라고 써져 있을때 A가 B를 의미하고 있는 것 같지 않아도 그냥 내용상 B가맞고 A가 있기만 하면 맞는 말인건가요? 
meque98 2019-01-21 오후 10:17:12

Check 4에서 

1. 4 번에서 대상과 합일한다는 표현이 있는데 대상과 합일한다는 것은 대상과 하나가 된다는 것 인데 어떤 다른 사람과 하나가 된다는 표현은 이상하지 않나요?

(가) 시는 그대를 그리워하면서 만나고 싶다는 내용인데 그대와 하나가 되고 싶다는 표현은 좀 맞지 않는것 같아요

2. 23번 4번선택지에서 '현재의 바람'이라는 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별개로 선택지중에 주제 의식을 부각하고 있다. 라는 말이 있잖아요 아무튼 맞다고 하셨는데 주제 의식이 뭘 의미하는지 모르겠어요 

meque98 2019-01-15 오전 2:14:37
시에서 공간이든 사물이든 A와 B가 나오면 무조건 그 둘은 의미가 연결되어 있는건가요?
meque98 2019-01-14 오후 3:38:22
현대시 1 46번 문제에서 1번 선택지에 인간의 삶과 공간의 의미를 연결 지었다고 했는데 여기서 인간의 삶은 모든 시에서 나오는 건가요?
shimhg5 2018-11-06 오전 1:01:47

문법 관련 질문입니다

지난 수업시간에 서술어의 자릿수에 대해 이야기하실 때, 예외적으로 목적격 조사가 있을 경우에는 서술어가 자동사라도 2자리 서술어로 봐야한다고 하셨는데,

부사격조사와 같이 어떤 격조사이든 사용되면 서술어의 필수성분인 것은 아니죠? (목적격 조사에만 한정된 예외인거죠?)

lettsbe 2018-11-04 오후 7:52:11

문맥상 ~와 바꿔 쓰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하는 어휘 문제는

1.사전적 의미가 다르면 틀린건가요..?

2.보통 지문에는 한자어이고 선지는 고유어로 나오나요?


lettsbe 2018-11-03 오후 11:36:11

비음화가 된 예시를 A로 주고

이에 대한 설명으로 선지에 물+약→물략 처럼 자음이 교체된 음운 변동이 있다

고 나오면 예시는 유음화여도 뒤의 설명이 맞으니까 맞는건가요


+그러면 이런 유형에서 선지에 나오는 예시는 무슨 음운 변동인지 확인 안하고 설명만 읽어도 되나요?